Skip to content

성과 관리 예측 시스템 활용 사례

⚠️ 현업 성과 관리의 문제점
∙ 각 부서의 리더들은 공통적으로 구성원들이 무슨 성과를 창출해야 할지를 함께 고민하고, 성과 달성 과정에서의 잘한 점과 부족한 점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여 성과관리 중심이 아닌 단순 성과중심의 운영이 초래
∙ 성과관리의 방향성만을 강조해 세부변화 계획수립이나 임직원 변화관리의 실시간 확인이 어려워 성과관리 체계가 제대로 작동되지않고 현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발생.
∙ 평가 절차나 양식 등이 지나치게 복잡해 투입하는 노력과 시간 대비 효용성이 있는가에 대한 문제제기가 지속됨
∙ 조직과 개인의 성과목표를 사업 전략과 연계할 수 있는 구체적 운영 프로세스를 마련하지 못함
∙ 대부분 상위 조직으로부터 성과목표를 내려받고, 년단위 또는 반기 단위 성과관리 사이클을 유지함으로써 조직운영 모델 작동 지원 못함
⛳ 인공지능을 활용한 성과 관리 예측 시스템 도입 목표

∙ 관리자가 개별 임직원들의 성과를 평가하기 전에 해당 성과를 인공지능으로 미리 예측하여 객관적인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것
∙ 조직이 기대하는 성과수준과 실제 개개인의 성과 간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함
∙ 조직의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함
∙ 경영진 및 HR부서 입장에서는 좀더 짧은 인터벌의 직원평가를 통해 잠재우수직원을 더 대우하고, 잠재적 미흡한 성과가 예측되는 직원들에게 적합한 상담, 교육, 부서 재배치 등 선조치를 취하고 싶음
∙ 또한, 회사에서 도입하는 새로운 제도(예를 들어, 부서간 크로스 평가 등)들이 직원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파악하여, 새로운 제도의 지속적 도입 여부등을 판단하고 싶음
👍 승진 적합도 예측 시스템 활용 효과

목표 설정에서부터 평가, 보상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방식을 크게 바꿀 수 있으며 새로운 제도를 보강하는 계기가 됨.직원별 성과에 대한 사전 예측을 통해 부서장들에게 예상되는 성과 및 성과에 기여하는 요소들을 실시간으로 제시하여 이 요소들에 근거 일대일 맞춤상담을 진행하게 됨.

승진 적합도 예측 시스템을 도입하고 사용하면서 현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 제시
∙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누적될수록 해당 ‘OO(18년)’, ‘OO(19년)’ 데이터에 20년도 평가 데이터를 추가시키는 재모델링 방식으로 추가 고도화를 진행해볼 수 있고 이를 통해 과거 평가 결과를 반영해 모델의 적합성을 높일 수 있음
∙ 구글의 어도비의 성과관리 방식에서 알수 있듯이 잘못된 성과관리는 협력 저하, 평가 공정성에 대한 갈등이 우수인재 이직의 결과를 낳고 있음. 연1회 성과 리뷰는 실질적 목표 달성과 구성원 성장과 육성에 크게 도움이 안 된다는 판단에 기인
∙ 회사의 전략적 방향성 자체가 민첩성과 구성원의 집단적 창의와 협력이 뒷받침 되어야만 실행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이러한 부분들의 실시간적인 확인이 필요함

See more

아무것도 모르셔도 됩니다. 아로가 ZERO부터 직접 도와드립니다!